생태적특성
․ 일본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등지에도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150~1,250m에서 자생
․ 키가 작고, 원줄기와 가지가 분명하지 않으며,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관목
․ 우리나라 충북 지역을 제외한 전국 각지와 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양지는 물론 음지에서도 잘 자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조경적 이용
․ 꽃꽂이에 이용
․ 수형이 우거지고 꽃이 많이 피어 조경수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생울타리나 차폐용으로 좋다. 또 음지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큰키나무 아래 심으면 조경수로써의 가치가 돋보인다.
활용가치
․ 어린 잎은 식용한다.
․ 신경통, (뿌리)치질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관리 및 재배 시 주의 사항
․ 비옥한 사질양토,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 고광나무를 키우는 장소로는 햇볕이 잘 드는 화단 주위나 정원이 적당하며, 30~60%의 모래와 진흙 및 유기물이 혼합된 양토에 꺾꽂이와 씨를 뿌려 번식시킨다.
․ 시기는 이른 봄이 적당하며, 꺾꽂이는 모래가 많이 섞인 양토에 어린 가지를 꽂아 온실 안의 온도를 12.7℃ 정도로 맞추어 준다.
․ 종자는 오래되면 발아하는 힘이 약해지므로 그 다음 해에 심는 것이 좋다. 싹이 나는 기간은 5~9주일 가량 걸린다. 보통으로 관수 관리하고, 건조한 곳은 좋아하지 않는다. 광선을 요하는 양수이지만 다소 그늘진 곳에서도 볼 수 있다.
․ 노지에서 월동하며 환경내성은 보통이며 내건성이 강하고 내한성도 크다.
참조
1. 오이순
유사종
1. 섬고광나무(Philadelphus scaber)
2. 꼭지고광나무(Philadelphus mandshuricus)
3. 일본고광나무(Philadelphus satsumi)
4. 얇은잎고광나무(Philadelphus tenuifolius)
5. 애기고광나무(Philadelphus pekinensis)
6. 털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ckii var. jackii koehne)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