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이 어긋나며, 화피열편의 길이가 화피통 길이의 절반 이하이고, 포는 없으며, 뿌리줄기가 원통형이고, 꽃이 1~2개씩 달리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줄기에 능선이 미약하고, 수술대에 털이 없는 종류를 풍도둥굴레(var. odoratum)라고 하며, 줄기에 능선이 발달하고, 수술대에 털이 있는 종류를 둥굴레라고 한다.
활용가치
근경을 식용 및 약용한다.
형태적특성
여러해살이풀로, 원통형의 뿌리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으며, 갈라지기도 하고, 지름 3~12mm다. 줄기는 위쪽이 조금 옆으로 기울어지며, 높이 30~60cm, 겉에 능선이 있다. 잎은 5~15장이 2줄로 어긋나며, 좁은 타원형, 길이 5~18cm, 폭 2~6cm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1~3cm의 꽃대에 보통 2개씩 달리며, 밑을 향하고, 흰색이다. 화관은 종 모양이며, 길이 1.2~3.0cm, 끝이 6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6개이며, 꽃밥은 수술대와 길이가 거의 같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검게 익는다.
참조
줄기에 능선이 미약하고, 수술대에 털이 없으며, 꽃에 달리는 거가 1~2개인 종류를 풍도둥굴레(var. odoratum)라고 하며, 울릉도에 분포하는 왕둥굴레(P. robustum (Korsh.) Nakai)에 비해서는 줄기는 겉에 능선이 있으며, 줄기 높이, 잎 크기 등이 전체적으로 보다 작으므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