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특성
- 분포지역은 평남 맹산과 성천지역 및 중부 이남에 자생하고 석회암지대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 내한성과 내염성이 강하고, 양지, 반음지성으로 음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지만 꽃수가 적어진다.
- 암반이 많은 바위틈이나 골짜기의 햇빛이 많이 쪼이는 지역에서 자생하며 토양은 배수성이 좋고 비옥한 토양으로, 특히 중성 또는 약알카리성 토양에서 잘 자라며 건조에도 잘 견딘다.
조경적 이용
- 꽃의 향이 좋아 보행로 등 길가에 식재
- 독립수로 식재 가능
- 전지나 전정에 매우 강하여 경계식재 및 토피어리용으로 식재
활용가치
- 어린잎과 순은 식용으로 이용 가능
관리 및 재배 시 주의 사항
- 봄 가뭄에 관수 관리 철저
- 줄기가 무성해 통풍이 불량할 경우에는 엽소현상이 나타남.
- 전정은 낙엽이 떨어진 가을에 실시
참조
유사종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