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적 고도가 낮은 지역의 숲 가장자리, 길가 및 바닷가 주변,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활용가치
껍질은 섬유용으로 쓰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형태적특성
기부는 목질화되어 마치 떨기나무처럼 보이기도 하며, 줄기는 여러 개가 기부에서 모여난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는 길이 2~10cm로 융털이 밀생한다. 잎몸은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 길이 10~20cm, 너비 8~16cm 정도이고, 기부는 밑이 둥글거나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규칙적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잎끝은 짧게 뾰족하며, 뒷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7~10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며,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밑부분에 수꽃 꽃차례, 윗부분에 암꽃 꽃차례가 달린다. 암꽃은 통 모양으로 생긴 꽃받침에 싸여 있다. 열매는 수과, 종자는 볼록한 타원상 난형이고 1mm 정도이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대흑산도, 제주도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왕모시풀에 비해 잎 뒷면에 짧고 연한 털이 나며 잎자루에 강모 또는 섬모가 있으므로 구별된다. 껍질은 섬유로 쓰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섬진진, 섬신진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