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특성
높은 산 계곡의 바위 절벽 틈새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70cm이다.
활용가치
관상용으로 심는다.
형태적특성
낙엽성활엽관목으로 높이 70cm이다.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엽병이 거의 없고 깊은 톱니가 2~3개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복모가 있거나 없다. 꽃은 6월경에 원추화서가 가지 끝에 달리며 꽃은 양성이고 꽃받침잎은 삼각형으로서 열매의 것은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선형이며 수술은 짧으며 백색이다. 열매는 5실이고 끝이 뒤로 젖혀지며 8~9월에 흑갈색으로 익고 털이 없으며 종자는 방추형이고 갈색이다
참조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은 한반도 고유종이다.
한국 고유종으로 금강산에서만 흔히 분포하며 관상가치가 높다.
유사종
참고
http://www.nature.go.kr/ https://species.nibr.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