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특성
․ 가야산이나 한라산 일부 고산 지대 바위 표면에 자란다.
․ 남부지방 해발 800m 이상의 습윤한 바위곁이나 초원에서 자란다.
․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하나 내서성은 약하다.
조경적 이용
․ 작은 식물들을 돌 등에 붙여 키우는 초물분재의 재료로 활용
활용가치
․ 관상용으로 화분에 심는다.
관리 및 재배 시 주의 사항
․ 바람이 잘 통하고 적당한 반그늘 진 곳에서 재배
․ 특히 여름에는 지하부를 시원하게 관리해 주고 공중습도를 유지시켜 주어야 하므로 이끼 등으로 덮어주는 것도 좋다. 이끼를 잘 덮어주면 겨울철에 서릿발에 의해 뿌리가 들떠 동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참조
1. 앵초류 가운데 전체적으로 가장 작다.
2. 의보춘
유사종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