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가구재, 조각재, 기구재, 공예용으로 이용한다. 어린가지는 약용하고, 어린순과 열매는 식용한다.
형태적특성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며 어린가지를 꺾으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12cm의 달걀형 또는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꽃은 흰색, 지름은 1~1.5cm 정도로 5월경에 피는데 새로 난 잔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많이 달린다. 꽃차례는 옆이나 밑으로 처지며, 작은꽃자루는 길이 0.5~2cm로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하나의 꽃대에 4~5개의 둥근 열매가 열리며, 6~7월경에 검게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원종인 귀룽나무에 비해 작은꽃자루가 길이 0.5~2cm로 긴 점에서 식별하고 있다. 꽃이 필 때는 나무 전체가 꽃으로 뒤덮여 조경용으로 적당하다. 목재는 가구재, 조각재, 기구재, 공예용으로 이용한다. 어린가지는 약용하고, 어린순과 열매는 식용한다. 서울귀룽, 서울귀롱목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