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잎산딸기
관리자
0
14,328
2017.08.24 11:30
| 식물 정보 | |
| 식물명 | 긴잎산딸기 |
| 학명 | Rubus crataegifolius f. subcuneatus |
| 분류 | 장미과 |
| 종특성 | 낙엽활엽관목 |
| 타입 | 관목 |
| 꽃색상 | ![]() |
| 개화시기 | 6월 |
| 생장길이 | 2m 내외 |
| 자생지역 | 경상남도 |
| 생태 및 재배주기 | |||||||||||||||||||||||||||||||||||||||||||||||||||||||||||||||||||||||||||||||
| |||||||||||||||||||||||||||||||||||||||||||||||||||||||||||||||||||||||||||||||
생육환경
| 수분 | |
| 광선 | |
| 내한성 | |
| 토양 |
| 공간별 분류 | |
| 가치유형별 분류 |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는 2m에 이른다. |
활용가치 |
열매를 식용 및 약용한다. |
형태적특성 |
잎은 긴 타원형으로 얕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잎끝이 뾰족하며 겹톱니가 있다. 꽃은 6월경에 흰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산방상 꽃차례에 달린다. 열매는 취과, 둥글며 7~8월에 검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경상남도 거제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나무딸기에 비해 잎은 얕게 찢어져 있으며 긴 타원형을 이루므로 구별된다. 열매를 식용 및 약용한다. 긴잎나무딸기, 긴나무딸기라고도 부른다. |
참조 |
|
유사종 |
1. 긴잎산딸기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