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오줌나무
관리자
0
11,158
2017.08.22 13:23
식물 정보 | |
식물명 | 말오줌나무 |
학명 |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
분류 | 인동과 |
종특성 | 낙엽활엽관목 |
타입 | 관목 |
꽃색상 | ![]() |
개화시기 | 6월 |
생장길이 | 4~5m |
자생지역 | 경상남도, 전라남도, 울릉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산지 숲 속 습지, 골짜기 등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이다. |
활용가치 |
가지는 약용하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
형태적특성 |
낙엽활엽 관목 또는 아교목으로 어린 가지에 털이 없으며 수피는 코르크가 발달한다. 잎은 대생하고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으로 길이 10~15cm, 너비 5~6cm이다. 잎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밑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광채가 나며 엽병은 길이 13cm에 이르고 소엽병이 있다. 꽃은 6월에 황백색 또는 녹백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산방상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털이 없고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 조각은 3각형으로 뒤로 젖혀지고 화관 열편은 타원형으로 잔털이 있다. 열매는 핵과로 구형이고 7월에 붉게 익는다. 울릉도와 경상남도, 전라남도의 남해안 섬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말오줌나무, 울릉말오줌때라고도 부른다. 2) |
참조 |
|
유사종 |
1. 지렁쿠나무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