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초피나무
식물 정보 | |
식물명 | 털초피나무 |
학명 | Zanthoxylum piperitum f. pubescens (Nakai) W.T.Lee |
분류 | 운향과 |
종특성 | 낙엽활엽관목 |
타입 | 관목 |
꽃색상 | ![]() |
개화시기 | 5월 |
생장길이 | 3m 내외 |
자생지역 | 제주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따뜻한 지방에 자생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잡목림의 간별한 수림 밑 정도의 반그늘진 곳이 이상적이다. |
활용가치 |
어린 잎에 독특한 향기가 있어서 향신료로 널리 쓰이며 또 덜 여문 열매도 향미와 독특한 매운 맛이 있어서 식용으로 쓰인다. 어린잎과 미숙과는 장조림도 만들고 김치의 조미료로 이용되며 열매의 과피와 씨는 향신료 및 약재로 촉초라 하여 방향성 건위제로 쓰인다. 한방에서 과피를 말린 것을 가루로 하여 건위강장제로 이용하며, 씨를 말린 것은 이뇨제로 약용한다. 굳어진 생잎의 즙은 국부의 마취와 해독작용이 있으며, 잎, 열매, 줄기 모두를 약술로 만들 수도 있다. 나무껍질은 전피라고 하며 고기잡는 데 사용한다. |
형태적특성 |
잎은 어긋나기하고 홀수깃모양곂잎이며 소엽은 9~10개이고 달걀모양, 긴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미요두 에저이고 길이 1~3.5cm로서 4~7개의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의 기부와 잎몸 및 정점에 선점이 있고 향기가 있으며 잎 중앙부에 연한 황록색 반문이 있고 흔히 엽축에 가시가 있다. 잎에 털이 많이 있다. 복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연한 황록색 꽃이 달리고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5개씩 화피와 수술이 있고 꽃잎이 없으며 씨방은 떨어져 있으며 기부에 대가 있다. 삭과는 적갈색으로서 구형이며 선점이 있고 9월에 익으며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성숙한 과피를 말린 것을 산초라 한다. 줄기는 높이 3m에 달하며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탁엽이 변한 가시는 밑으로 약간 굽었으며 길이 1cm로 마주보며 달린다. |
참조 |
|
유사종 |
1. 개산초 2. 머귀나무 3. 산초나무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