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긴잎모시풀
관리자
0
12,544
2017.08.16 15:47
식물 정보 | |
식물명 | 제주긴잎모시풀 |
학명 | Boehmeria nakaiana Satake |
분류 | 쐐기풀과 |
종특성 | 여러해살이풀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
개화시기 | 8월,9월,10월 |
생장길이 | . |
자생지역 | 제주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산지 숲 가장자리 또는 길가 주변의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마치 떨기나무 비슷하게 보인다. |
활용가치 |
껍질은 섬유용으로 쓰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
형태적특성 |
줄기는 여러 개가 기부에서 모여난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는 길이 2~3cm로 짧은 털이 산생하거나 밀생한다. 잎몸은 좁은 타원형이거나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8~10cm, 너비 2.5~4cm 정도이고, 기부가 다소 넓은 쐐기 모양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뒷면에 털이 거의 없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8~10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며,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밑부분에 수꽃 꽃차례, 윗부분에 암꽃 꽃차례가 달린다. 암꽃은 통 모양으로 생긴 꽃받침에 싸여 있다. 열매는 수과 10~11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자라는 한국 고유종이다. 긴잎모시풀과 유사하지만, 줄기에 드물게 세로로 가늘고 긴 홈이 있는 것과 잎이 좁은 피침형으로 더 작고 가는 것이 다르다. 제주신진, 섬모시풀, 제주개모시풀이라고도 한다. 껍질은 섬유로 쓰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
참조 |
|
유사종 |
개모시풀 거북꼬리 긴잎모시풀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