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덕고광나무
관리자
0
12,009
2017.08.10 13:52
식물 정보 | |
식물명 | 양덕고광나무 |
학명 | Philadelphus koreanus Nakai |
분류 | 수국과 |
종특성 | 낙엽활엽관목 |
타입 | 관목 |
꽃색상 | ![]() |
개화시기 | 4월,5월 |
생장길이 | 1~3m |
자생지역 | 평안남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산기슭의 양지바른 전석지 또는 계곡 주변에서 나는 낙엽활엽 떨기나무로 높이는 1~3m가량 자란다. |
활용가치 |
관상용으로 심는다. |
형태적특성 |
2년생 가지는 나무껍질이 벗겨지지 않는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52~115mm, 폭 30~74m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 모양 또는 둥글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1년생 가지 끝에서 총상 또는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조각은 난형으로 길이 3~3.5mm이고 꽃잎은 둥글며 길이 10mm, 너비 9~11mm이고 암술대는 길이 5mm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거꾸로 된 원추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 꽃자루, 꽃받침, 암술대에는 털이 없다. 우리나라 북부지역 평안남도 양덕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이 종은 금년지에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나무껍질이 벗겨지지 않으며, 꽃차례, 꽃자루, 꽃받침통 및 암술대에 털이 없는 특성으로 유사종과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
참조 |
|
유사종 |
1. 고광나무 2. 서울고광나무 3. 애기고광나무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