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사초
관리자
0
13,291
2017.07.31 17:11
식물 정보 | |
식물명 | 햇사초 |
학명 | Carex pseudochinensis H.Lév. & Vaniot |
분류 | 사초과 |
종특성 | 여러해살이풀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
개화시기 | 월 |
생장길이 | 30~60cm |
자생지역 | 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남도,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산지의 습지나 계곡 주변에 나는 다년초로 키 30~60cm 정도로 자란다 |
활용가치 |
관상가치가 높다. |
형태적특성 |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잎은 납작하며 폭 2.5~4mm이고 줄기 밑부분의 잎집은 잎몸이 없고 자주색이며 그물처럼 갈라진다. 작은이삭은 3~5개, 수꽃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며 선형이고 1~4cm이며 자주색이다. 암꽃이삭은 줄기 옆에 달리며 짧은 원기둥 모양이고 암꽃의 비늘조각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적자색이며 가장자리는 막질로 흰색이다. 과포는 비늘조각보다 길고 털이 없으며 둔하게 세모진 긴 타원상 난형이고 부리가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삼각상 넓은 난형이다. 5~6월에 꽃이 피고 결실한다. 주로 씨로 번식한다. 우리나라 함경도, 평안남도, 경기도 수원, 오산, 경남 양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과포가 장타원상 난형으로 인편보다 약간 긴 점에서 과포가 피침형으로 인편보다 2~3배 정도 긴 북사초와 구별한다. |
참조 |
|
유사종 |
가는사초 가는잎보리사초 가는흰사초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