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삭사초
관리자
0
13,526
2017.07.31 16:55
식물 정보 | |
식물명 | 조이삭사초 |
학명 | Carex phaeothrix Ohwi |
분류 | 사초과 |
종특성 | 여러해살이풀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개화시기 | 4월,5월 |
생장길이 | 20~30cm |
자생지역 | 함경북도, 양강도, 함경남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산지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조밀하게 모여나고, 날카롭게 삼각이 지며 거칠고, 높이 20~30cm이다. 잎은 거칠고 납작하며 너비 2~3mm이다. |
활용가치 |
|
형태적특성 |
아래쪽의 잎집은 갈색이고 섬유질로 갈라진다. 이삭은 3~5개 약간 모여 달리거나 마지막의 것은 약간 떨어져 달린다. 가장 위의 이삭에는 수꽃만 달리며 선상피침형이고 대가 짧다. 다른 이삭들은 암꽃으로만 구성되고 길이 1.0~1.5cm이며, 꽃이 다소 조밀하게 달리고 대는 짧거나 없다. 꽃차례의 포는 잎집이 없고, 침형이다. 암꽃의 인편은 색이 연하고 끝은 둔하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긴 피침형으로 길이 4.0~4.5mm이며 다소 납작하고, 표면에는 털이 있다. 과낭의 끝은 점점 좁아지고 끝은 깊게 갈라진다.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4~5월에 꽃이 피고, 결실한다. 한반도 북부지방 백두산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애기감둥사초류 식물에 비해 암꽃을 끼고 있는 인편의 색이 연하고, 과낭이 납작한 것으로 구별된다. |
참조 |
애기감둥사초류 식물에 비해 암꽃을 끼고 있는 인편의 색이 연하고, 과낭이 납작한 것으로 구별된다. |
유사종 |
가는사초 가는잎보리사초 가는흰사초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