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풀
관리자
0
14,166
2017.07.31 16:38
식물 정보 | |
식물명 | 무등풀 |
학명 | Scleria mutoensis Nakai |
분류 | 사초과 |
종특성 | 한해살이풀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개화시기 | 8월 |
생장길이 | 20~40cm |
자생지역 | 전라남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산지의 햇빛이 다소 드는 풀밭에서 높이 20~40cm쯤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
활용가치 |
|
형태적특성 |
줄기는 세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길이 5~10cm, 폭 1.5~3mm이고 편평하며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는 거칠며 아랫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꽃자루를 감싼다. 잎집은 흔히 날개가 없으나 굵은 것은 좁은 날개가 있다. 꽃자루는 횡단면이 삼각형이고 털이 없다. 꽃은 8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2~3개가 서로 떨어져 달린다. 위에 달리는 1~2개의 이삭은 꽃자루가 없으며, 아랫부분의 이삭은 길이 1~1.5cm의 꽃자루가 있다. 꽃자루 윗부분에 털 또는 잔돌기가 있다. 꽃싸개잎은 길이 1~2cm이고 침형이며 이삭보다 긴 것도 있다. 수꽃이삭은 드물며, 암꽃이삭은 3개의 포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4~5mm이며 연한 갈색이다. 포영은 난상 삼각형이고 녹색이며 1개의 맥이 있고 능각이 있으며 끝에 돌기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백색이고 도란형이며 밋밋하다. 우리나라 광주 무등산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무등율무꽃이라고도 부른다. 1938년 광주 무등산에서 발견된 이후로 최근까지 자생지 및 개체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
참조 |
광주 무등산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무등율무꽃이라고도 부른다. |
유사종 |
가시개올미 너도고랭이 애기개올미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