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개쑥부쟁이
식물 정보 | |
식물명 | 눈개쑥부쟁이 |
학명 | Aster hayatae H.Lév. & Vaniot |
분류 | 국화과 |
종특성 | 여러해살이풀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
개화시기 | 6월,7월,8월,9월 |
생장길이 | 15~25cm |
자생지역 | 제주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수분 | ●   ○   ○   ○   ○ |
광선 | ●   ●   ●   ●   ● |
내한성 | ●   ●   ●   ●   ● |
토양 | ●   ○   ○   ○   ○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여름 |
생태적특성
․ 다른 Aster속 식물들과는 달리 포복성이 있다.
․ 햇볕이 잘 드는 양지의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 경사면 또는 바위 틈
조경적 이용
․ 키가 작고 꽃이 아름다우며 가을철에 한 달 이상 계속 피기 때문에 도로변, 공원, 일반가정의 가을철 화단용으로 적합
․ 종자번식이 잘 되기 때문에 봄에 새로 만든 도로나 제방의 사면 등에 씨앗을 직접 뿌려 이용 할 수 있다.
․ 메마른 토양의 경사지나 절사면 녹화용으로 아주 좋다.
․ 초물분재와 분화로도 관상가치가 좋지만 화단에서처럼 꽃수를 많이 확보하기가 어렵다.
활용가치
․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
관리 및 재배 시 주의 사항
․ 도로변과 같이 매우 딱딱하거나 도로 양쪽 경사면과 같이 양분유실이 많은 곳은 심은 뒤 활착할 때까지 물 관리를 잘 해주어야 한다.
․ 분얼력과 환경적응성이 강하여 메마른 토양에서도 잘 자라나, 정원 및 화단에 식재시 부엽퇴비를 살포하여 주거나 유기질 경단비료를 심기전에 밑에 넣어 주면 잘 자란다.
․ 너무 비료를 많이 주면 초세가 너무 무성하여 관상가치가 떨어진다.
․ 장마기에 고온 과습으로 무름병이나 탄저병 등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주기적으로 살균제살포
참조
1. 양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비옥한 토양에서 재배하거나 시비가 과다하면 식물체가 크게 자라며 1년초화 하지만 척박한 토양에서 재배하면 다년초로 재배할 수 있다.
2. 고산성 식물이나 인공재배시 자생지에서보다 개화기는 약간 이르게 나타나지만 재배는 용이
유사종
1. 갯쑥부쟁이(Aster hispidus Thunb.)
2. 쑥부쟁이(Aster yomena (Kitam.) Honda)
3.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F.Schmidt )
참고
꽃말 : 찬사 (11월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