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부추
관리자
0
15,102
2017.07.12 15:06
식물 정보 | |
식물명 | 좀부추 |
학명 | Allium senescens L. var. minor S. O. Yu, S. Lee & W. T. Lee |
분류 | 백합과 |
종특성 | 여러해살이풀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
개화시기 | 8월,9월 |
생장길이 | 10~20cm |
자생지역 | 함경북도, 양강도, 함경남도, 자강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평양, 강원도이북, 황해북도, 황해남도, 경기도, 서울, 강원도이남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생태적특성 |
건조한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
활용가치 |
전초를 식용한다. |
형태적특성 |
여러해살이풀이다. 잎 단면은 반원기둥이고 꽃줄기 단면은 원기둥 모양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홍자색이다. 화피는 난상 피침형이고 수술은 화피보다 약간 길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다. 두메부추와 일반적 특징은 비슷하나 좀부추는 전체가 소형이고 근경이 짧으며, 잎이 화경보다 길고 잎 전부가 우측으로 꼬이는 점이 다르다. 강원도 지역에서 자라는 힌국 고유종이다. |
참조 |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으며, 식용 가능한 고유종이다. 한국 고유종으로 전국의 산지에 드물게 분포하며 식용으로 사용가능하고 관상가치가 높다. |
유사종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