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기린초
관리자
0
16,134
2017.03.16 23:36
식물 정보 | |
식물명 | 섬기린초 |
학명 | Sedum takesimense Nakai |
분류 | 20~50cm |
종특성 | 돌나물과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
개화시기 | 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 |
생장길이 | 20~50cm |
자생지역 | 함경북도, 양강도, 함경남도, 자강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평양, 강원도이북, 황해북도, 황해남도, 경기도, 서울, 강원도이남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   ○   ○   ○ |
광선 | ●   ●   ●   ●   ● |
내한성 | ●   ●   ●   ●   ● |
토양 | ●   ●   ●   ○   ○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여름 |
생태적특성
․ 울릉도, 설악산 등지의 습기가 있는 계곡의 양지쪽이나 산기슭의 햇볕이 잘 드는 장소, 돌 틈에 자생
․ 습기가 다소 있는 곳에서 잘 자라지만 내습성과 내건성이 매우 강함
․ 기부의 30cm정도는 겨울에도 죽지 않는다.
조경적 이용
․ 절개지나 성토지의 비탈면 보호용
․ 넓은 면적의 집단 식재
․ 암석원의 지피용, 옥상정원 식재
․ 큰꿩의비름,구절초류, 감국 등과 같이 생태환경이 유사한 식물과 혼식하면 관상가치를 증대 시킬 수 있음.
․ 돌틈, 축대와 같은 곳에 식재하여도 좋다.
활용가치
․ 연한 어린 순은 나물로 식용
․ 지상부는 활혈작용에 효과
․ 폐결핵으로 인한 각혈, 대장 출혈, 외상 출혈에 생것을 물에 넣어 달여 복용
․ 혈압 상승 시 에는 생것을 이용
관리 및 재배 시 주의 사항
․ 잦은 적심을 통하여 신초를 유도
․ 건조하게 관리
참조
1. 양지, 반음지의 건조한 토양의 돌틈에서 잘 자란다.
2. 섬기린초는 반상록이므로 다른 기린초류와 혼합하여 식재한다.
3. 아주 바쁘거나 게을러서 자주 물을 주며 꽃을 보살피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야생화를 들라면 꼽는 식물 가운데 기린초가 있다. 기린초는 사막에서 자라는 선인장처럼 몸 속에 많은 물을 저장하고 있어서, 아주 척박하고 건조한 조건에서도 잘 견디며 꽃을 피운다.
유사종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