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털중나리
관리자
0
16,368
2017.07.12 11:46
식물 정보 | |
식물명 | 광릉털중나리 |
학명 | Lilium amabile Palib. var. kwangnungensis Y. S. Kim & W. B. Lee |
분류 | 백합과 |
종특성 | 여러해살이풀 |
타입 | 초화 |
꽃색상 | |
개화시기 | 6월,7월,8월 |
생장길이 | 1m |
자생지역 | 경기도, 서울, 강원도이남,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
생태 및 재배주기 | |||||||||||||||||||||||||||||||||||||||||||||||||||||||||||||||||||||||||||||||
|
생육환경
수분 | |
광선 | |
내한성 | |
토양 |
공간별 분류 | |
가치유형별 분류 | |
계절별 분류 | 여름 |
생태적특성 |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m 정도이다. |
활용가치 |
관상용으로 심는다. |
형태적특성 |
산지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m 정도이다. 전체에 잔털이 있다. 비늘줄기는 긴 달걀형으로 길이 2.5cm, 지름 2~3cm가량이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이며 끝이 뭉툭하거나 날카롭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털중나리보다 화피편이 매우 두껍고 꽃의 색이 밝은 것이 다르다. 번식은 인경, 씨로 한다. 인경은 식용 또는 약용한다. 경기도 광릉 등 한반도 중부에 나는 한국 고유종이다 |
참조 |
|
유사종 |
노랑털중나리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