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G HANGOYON
Toggle navigation
  • 0
  • 회원가입  |  정보찾기
  • 메인
  • 회사
    • 회사소개
    • EVENT
  • 고유식물사전
    • GOYOUPEDIA
    • QR CODE
  • 조경
    • 조경
  • 고유원
    • 정원
  • 컨텐츠
    • 컨텐츠
  • 제품
    • 제품
  • 견적문의
    • 견적문의
  • 홍보
    • 프로모션
    • 오시는 길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GOYOUPEDIA

금강초롱꽃

관리자 0 15,851 2017.03.08 19:10
식물 정보
식물명 금강초롱꽃
학명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분류 초롱꽃과
종특성 여러해살이풀
타입 초화
꽃색상
개화시기 6월,7월,8월,9월
생장길이 20~70cm
자생지역
생태 및 재배주기
123456789101112
파종기●●●
이식기
개화기●●●●
결실기●●●
삽목기
생육환경
수분 ●   ●   ●   ○   ○
광선 ●   ●   ●   ●   ●
내한성 ●   ●   ●   ●   ●
토양 ●   ●   ●   ●   ●
공간별 분류
가치유형별 분류
계절별 분류 여름

생태적특성

- 금강산, 설악산, 태백산, 점봉산, 명지산, 오대산 등 중북부 산간지역 

- 해발 850~1400m, 경사 5~43 〬 , 유기물이 풍부한 산성토양(pH4.9~5.5), 인산 요구도 높은 편(평균 110ppm), 음지, 비교적 음지, 고산지의 경사지에 군락조성 

-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점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충분한 광을 요한다. 

- 뿌리는 굵게 괴근을 형성하면서 뻗고 갈라지며, 몇 개의 잔뿌리가 뻗어 나가는 숙근성 다년초 관화식물

 

조경적 이용

- 관화식물로 화분식재나 화단용으로 이용

 

 

활용가치

- (지상부)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 (지상부)해산촉진제로 사용

 

관리 및 재배 시 주의 사항

-금강초롱꽃은 파종 후 1년 내에는 추대 및 개화하지 못하고 파종 2년째가 되어야 개화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경기도 및 강원도지역에 30여 곳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는 풍부하나, 지역에 따라 색 변이가 심하다. 

- 2010년 서울에서 열렸던 G20정상회의의 로고로 쓰인 꽃이다. 

- 꽃모양이나 꽃이 달린 형태가 옛날 양반이 밤길을 걸을때 앞길을 비췄던 초롱불과 닮아 우리나라 사람들 정서에 잘 부합한다. 분화용으로 쓰긴 하지만 기르기가 까다로워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화단용으로도 좋을 것 같은데 평지에서는 여름에 너무 더워 정상적인 생육이 곤란하다. 

- 금강초롱도 일교차가 클수록 꽃색이 진해지는 경향이다. 사람도 시련이 강할수록 인간적으로 성숙해지고 삶도 더 풍요로워 지는것 처럼…

 

유사종

- 검산초롱꽃(Hanabusaya latisepala Nakai) 

- 흰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 f. alba T.B.Lee)

 

참조

- 꽃말 : 각시와 신랑, 청사초롱 (9월19일)

Comments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전 다음 목록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 이용안내 | PC 버전
한고연. All rights reserved.

Close